1998 수능은 그 이전의 수능들에 비해 난이도가 상당히 낮아졌다. 일단 총점 1등급 컷(사실 엄밀히 말하면 이 말은 틀린 것이다. 당시에는 등급제가 없었다. 등급제는 한참 뒤에 도입된다.)에 해당하는 상위 4% 점수가 인문계 338점, 자연계 343점으로 전년도에 비해 50점 이상 치솟았다.
수험생들은 1년전 수능에 맞춰진 모의고사에 1년간 익숙했던지라 자신의 점수가 급등해서 딱 하루 기분이 좋았다가 다음날 학교 갔다가 급좌절...
그러나 지금의 관점에서 물수능은 아닌 게, 98년 수능이 쉬웠다기보단 전년도의 97년 수능이 지나치게 어려웠기 때문. 실제로 6차(99년~04년) 수능들과 비교하면 98년 수능도 어려운 쪽에 속하는 수능이다. 당시 언론 보도 등에서는 사상 유례 없는 점수 인플레로 진학지도에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떠들어 댔지만, 현재 수능이 저런 난이도로 출제된다면 오히려 엄청난 불수능이라고 난리가 났을 것이다. 실제로 원점수 390을 넘은 수험생은 전국에 30명이었다. 게다가 1998학년도부터 2001학년도까지가 베이비붐세대로 재학생수가 지나치게 많아져서 수험생이 폭발적으로 늘어난 이유도 있다.
한편 이 해부터 수시모집이 본격 시행되는데, 수시모집에서는 수능 성적을 그다지 많이 고려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예컨대 서울대학교의 경우 수시모집 예비 합격생은 수능 성적이 상위 10% 안에만 들면 최종 합격 통지서를 받을 수 있었다. 1997년 12월 2일에 서울대학교 사상 최초의 수시모집 예비 합격생 348명의 명단이 발표되었고 이 가운데 330명이 최종 합격을 하였다.